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파이썬 공부하기 기초부터 시작 (자료형) 2탄

by ㈜㎹Ω∞ 2022. 7. 2.
728x90

1탄이 숫자형, 문자열, 불까지 정리했다면 2탄은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에 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리스트란

리스트는 데이터를 여러 개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며, 여러 자료형을 모아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만든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고, 리스트는 인덱싱과 슬라이싱 더하기연산이 사용 가능합니다. 또한 문자열과 다르게 원소를 추가하고 바꿀 수 있습니다. 리스트 = [ ]

  • 인덱싱, 슬라이싱, 더하기연산, len(), append(), insert(), remove(), del 함수 사용

 

a=["파이썬","언어","공부중","입니다."]
b=["너무","어려워"]
c=a+b

### 인덱싱사용
print(a[0])
파이썬

### 슬라이싱사용
print(a[1:3])
['언어', '공부중']

### 더하기 연산사용, print(c)의 결과값과 같음
print(a+b)
['파이썬', '언어', '공부중', '입니다.', '너무', '어려워']

### len함수사용 원소가 몇개인지 확인
print(len(a))
4

### a의 "언어" 부분을 "c언어"로 변경함, 인덱싱사용
a[1]="c언어"
print(a)
['파이썬', 'c언어', '공부중', '입니다.']

### append()함수로 원소추가
a.append("help")
print(a)
['파이썬', 'c언어', '공부중', '입니다.', 'help']

### insert()함수로 원하는곳에 원소추가
b.insert(1, "사랑해")
print(b)
['너무', '사랑해', '어려워']

### remove()함수로 원소삭제
a.remove("c언어")
print(a)
['파이썬', '공부중', '입니다.', 'help']

### del함수로 원하는곳 원소 삭제
del a[2]
print(a)
['파이썬', '공부중', 'help']

### 슬라이싱으로 범위설정가능
del c[2:]
print(c)
['파이썬', '언어']

 

리스트를 정렬하고, 순서 뒤집고, 해당 인덱스에 있는 값을 빼거나, 해당 값을 갖는 원소가 몇 개 인지 알 수 있는 함수가 있습니다. 예시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sort(), reverse(), count(), pop() 함수 사용

 

a=[1,8,5,6,9,7,2,15,3]
b=["파이썬","공부중","티스토리","블로그","운영중"]
c=[1,1,2,3,4,5,6,7,7,7,7,7,11]

### sort()함수로 원소정렬
a.sort()
print(a)
[1, 2, 3, 5, 6, 7, 8, 9, 15]

### reverse()함수로 순서뒤집기
a.reverse()
print(a)
[15, 9, 8, 7, 6, 5, 3, 2, 1]

### count()함수로 해당값을 갖는 원소가 몇개인지 알수있음
print(b.count("공부중"))
1
print(c.count(7))
5

### pop()함수는 해당인덱스에 있는 값을 빼낼수있음
d=a.pop()
print(d)
3 //공백이면 맨뒤에 숫자를 빼냄//
e=c.pop(2)
print(c, e)
[1, 1, 3, 4, 5, 6, 7, 7, 7, 7, 11] 2 ### 0부터 시작하기때문에 2를빼냄

 

튜플이란

리스트와 구조는 같지만 튜플은 한번 만들어지면 들어있는 값을 바꿀 수 없습니다. 바뀌지 않는 값을 여러 개 저장할 때 사용하며,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튜플도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하기와 곱하기 연산도 사용 가능합니다. 튜플 = ( )

 

 

딕셔너리란

키(key)와 값(value)을 한 쌍으로 갖는 자료형입니다. 딕셔너리 안에 키와 값을 추가하고, 키와 값을 지우며, 값만 나타내거나, 키만 나타내는 함수들이 있습니다. 또한 딕셔너리 안에 찾는 키가 있는지 참과 거짓으로 확인 가능하며, 예시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딕셔너리 = {키1:값1, 키2:값2}

  • del, keys(), values(), items(), in 함수 사용

 

### 딕셔너리 만들기
a={1:"티", 2:"스", 3:"토", 4:"리"}
print(a)
{1: '티', 2: '스', 3: '토', 4: '리'}

### 딕셔너리에 키추가하기
a[5]="블"
print(a)
{1: '티', 2: '스', 3: '토', 4: '리', 5: '블'}

### 값 지우기
del a[5]
print(a)
{1: '티', 2: '스', 3: '토', 4: '리'}

### 딕셔너리에서 key만으로 리스트만들기, keys(),list()사용
b=list(a.keys())
print(b)
[1, 2, 3, 4]

### 딕셔너리의 값만으로 리스트만들기, values(),list()사용
c=list(a.values())
print(c)
['티', '스', '토', '리']

### 딕셔너리의 키와값으로 리스트만들기, items(),list()사용
d=list(a.items())
print(d)
[(1, '티'), (2, '스'), (3, '토'), (4, '리')]

### in으로 키가 딕셔너리에 있는지 확인가능
### a에 1의키가 있으면Ture
print(1 in a)
True

### a에 5의키가 없으면 False
print(5 in a)
False

 

집합이란

집합(set)은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으로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습니다. 집합={ }

 

a=set("apple")
print(a)
{'e', 'p', 'l', 'a'}

 

|와&으로 합집합과 교집합을 찾을 수 있습니다.

 

a=set(["사과","바나나","귤","레몬"])
b=set(["사과","바나나",1,2,3,4,])
c=a|b
d=a&b

### |는 합집합//모든값표시,중복표시안됨
print(c)
{1, 2, 3, '레몬', 4, '귤', '바나나', '사과'}

### &는 교집합//교집합이란 공통된값
print(c)
{'바나나', '사과'}
728x90

댓글